피리연주가 고우석은 국립국악원 정악단의 피리 지도단원으로 수석, 부수석 연주자를 역임하였다. 피리정악의 보존과 계승을 위해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중견연주가로 다양한 연주활동과 함께 대학에서 후학을 양성하는 일에도 힘 쏟고 있다.
또한 국가무형문화재 제 46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 이수자이며 21C 피리음악연구회의 부회장으로, 전통음악에서 창작음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국립국악고등학교와 추계예술대학교 및 동 대학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였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박사과정에 있다.
2006 제 1회 독주회 '고우석의 THE FIRST' 개최
2008 제 2회 독주회 '고우석의 THE SECOND' 개최
2008 고우석 피리창작음악 정규음반 'Deviation of Piri' 발매
2011 고우석 '피리 찬양 연주곡집 Hymns & Gospel' 발매
2017 고우석 피리정악 정규음반 '고우석 피리정악Ⅰ 「평조회상」' 발매
[음반 소개]
고우석 피리정악Ⅰ 「평조회상」 발매
‘평조회상’은 영산회상의 세 바탕 중의 하나로 ‘유초신지곡’ 또는 ‘취태평지곡’ 이라고도 한다. 영산회상은 ‘중광지곡’또는 ‘현악영산회상’을 말하는데 평조회상은 영산회상을 4도 아래로 이조하여 연주하는 곡이다. 세피리로 연주하는 세악편성의 영산회상에 비해 향피리로 연주하는 관현악편성의 평조회상은 훨씬 웅장하고 화려한 느낌이 특징이다.
‘고우석의 피리정악Ⅰ 「평조회상」’은 보편적으로 연주하는 관현악편성의 평조회상과 달리 피리와 가야금의 음색으로 이루어져있다. 대규모 악기편성의 평조회상을 두 악기만으로 연주하는 일은 긴 호흡의 평조회상을 세세히 알아야지만 가능하다.
국악기 중 가장 큰 음량, 강한 음색을 지닌 피리를 부드럽고 섬세하게 연주해내는 데에 일가견이 있는 그의 음악은 물 흐르듯 매끄럽고 유연하다. 이렇듯 고우석만의 깊은 호흡을 담은 평조회상을 통해 피리정악의 유려함을 선보이고자 한다.
[음악 소개]
평조회상 (平調會相)
1. 상령산 (上靈山)
2. 중령산 (中靈山)
3. 세령산 (細靈山)
4. 가락덜이 (加樂除只)
5. 상현도드리 (上絃還入)
6. 염불도드리 (念佛還入)
7. 타령 (打令)
8. 군악 (軍樂)
9. 상령산 풀이 (上靈山 解奏)
'평조회상'은 향피리가 중심이 되어 연주하는 '영산회상'중 하나로 '유초신지곡(柳初新之曲)' 또는 ‘취태평지곡(醉太平之曲)’이라고도 한다. 거문고가 중심이 되는 ‘현악영산회상(거문고회상 또는 중광지곡)’을 4도 낮게 이조한 것이 바로 평조회상이다.
‘평조회상’은 현악영산회상 9곡 중 ‘하현도드리’가 빠져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상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의 8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조회상의 ‘평조’는 선법명인 계면조의 반대말이 아니라 높은 음계((청)황종궁)를 뜻하는 ‘우조(웃조)’의 반대말로 쓰여서 조가 ‘낮다’는 뜻으로 임종계면조로 되어있다. 음계는 林(-南)-潢-太-仲으로 되어 있다.
현악영산회상이 매우 우아하고 심오한 세악편성의 줄풍류라면 평조회상은 화려하고 웅장한 관현악편성의 대규모 음악이다.
이번 음반에서는 평조회상에 편성되는 악기 중 특별히 피리와 가야금으로 구성하여 연주하였으며, 가야금에는 국립국악원 정악단의 가야금연주가 김형섭이 함께 참여하였다.
[연주자 소개]
피리 고 우 석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추계예술대학교 국악과 졸업 및 동 대학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박사과정 재학
2006 제 1회 독주회 '고우석의 THE FIRST' 개최
2008 제 2회 독주회 '고우석의 THE SECOND' 개최
2008 고우석 피리창작음악 정규음반 'Deviation of Piri' 발매
2011 고우석 '피리 찬양 연주곡집 Hymns & Gospel' 발매
2017 고우석 피리정악 정규음반 '고우석 피리정악Ⅰ 「평조회상」' 발매
국가무형문화재 제46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 이수자
21C 피리음악 연구회의 부회장
現 국립국악원 정악단 지도단원
가야금 김 형 섭
서울대학교 국악과 졸업
한양대학교 대학원 음악연주학 박사
現 국립국악원 정악단 단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