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하 거문고 남도민요 ‘신민요’ / LEE JAE HA GEOMUNGO NAMDO MINYO 'Shin Minyo'
크레딧
|
INTRODUCTION이재하 거문고 남도민요 ‘신민요’ / LEE JAE HA GEOMUNGO NAMDO MINYO 'Shin Minyo'
크레딧 TRACKSRELEASESCREDITSGeomungo, Jang-Gu : 이재하 Jae-Ha Lee
Recording Engineer : 이재하 Jae-Ha Lee Recorded & Mastered at NeigeROOM 트랙리스트 Track list. 트랙 1. 사철가 Sacheolga 03:20 트랙 2. 금강산타령 Geumgangsan-taryeong 03:00 트랙 3. 동백타령 Dongbaek-taeryong 07:11 TOTAL 13:31 라이너노트 우리나라는 지역을 경계로 다양한 민속음악이 존재한다. 그리 넓지 않은 땅덩어리가 나뉘고 나뉘어 지역적 특징이 생기고 그것이 문화를 이루었다. 대한민국처럼 면적이 좁은 나라에서 지역별로 큰 문화적 차이를 보이는 것은 참으로 신기한 일이다. 예로부터 신분사회는 얼마나 뿌리 깊었는지, 돈을 주더라도 사야만 했던 양반이라는 신분은 자신을 방어하고 높이는 두 글자였다. 신분 차이는 의식주의 차이를 불러왔고 예술을 향유하는 방식도 마찬가지였다. 백성은 삶의 애환과 풍자를, 양반은 의식과 수양을. 그 두 가지 (지역과 신분) 사이에서 외로웠던 악기가 ‘거문고’라는 악기가 아닐까? 경기, 서도 지방 음악에 쓰이지 않으며(주로, 혹은 거의) 양반의 악기라는 관념으로 민중의 음악들에 편입되지 못하였다. 최근 뛰어난 거문고 주자들의 활동으로 창작음악에서 거문고의 영향력이 넓어지게 되었다. 본인은 창작자이자 연주자로 활동하며 항상 새롭고 창의적인 음악을 만들고 연주하고자 노력하는 한편 전통 음악에서 거문고 산조 이외의 레퍼토리가 기록된 음원의 부재가 항상 아쉬웠다. 2022년 이재하 거문고 남도민요 ‘육자배기’, 2024년 '흥타령'에 이어 대표적 남도 신민요인 '사철가, 금강산타령, 동백타령'을 거문고 소리만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인 남도민요 연주는 창자를 주인공으로 기악은 반주 하는 음악이고, 그 안에서 거문고가 담당해야할 역할이 있으나 본 음원은 소리의 결을 최대한 지키고 가사가 발음되는 부분을 최대한 인지하며 창자의 목소리를 거문고로 표현해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In Korea, there is a rich diversity of folk music that varies by region. Although the land is not vast, it is divided and subdivided, creating distinct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formed the foundation of its culture. It is truly remarkable that, in a country with such a small land area as South Korea, there are significant cultural differences across regions. Since ancient times, the deeply rooted class society shaped the way people lived, and even money couldn’t buy the status of a noble. The term 'yangban' (noble class) was a protective and elevating concept, deeply ingrained in society. Class distinctions led to differences in lifestyle, and this extended to how art and music were enjoyed. The common people expressed their sorrows and social satire, while the yangban focused on propriety and self-cultivation. Perhaps the most solitary instrument in this divide between region and class was the 'geomungo'. Not used in the music of the Gyeonggi or Jeolla provinces (or rarely, if at all), the geomungo came to be associated with the noble class, thus excluded from the music of the common folk. Recently, the influence of the geomungo in contemporary music has expanded due to the activities of outstanding geomungo players. As both a creator and performer, I have always strived to make and perform new and creative music, while feeling a persistent regret over the lack of recorded repertoire for the geomungo beyond the traditional geomungo sanjo. Following my 2022 release of Lee Jae-ha's geomungo rendition of 'Yukjabaegi' and the 2024 release of 'Heungtaryeong', I arranged three representative South Korean folk songs of the southern provinces using only the sound of the geomungo. In typical performances of South Korean folk songs, the vocalist is the main focus, with the instrumental music serving as accompaniment. While the geomungo traditionally has a role in these performances, my focus in this recording was to preserve the texture of the sound as much as possible, paying careful attention to the articulation of the lyrics and using the geomungo to express the voice of the singer. REVIE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