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
크레딧
Geomungo, Jang-Gu : 이재하 Jae-Ha Lee
Recording Engineer : 이재하 Jae-Ha Lee
Recorded & Mastered at NeigeROOM
트랙리스트
트랙 1. NAM 07:46
TOTAL 07:46
라이너노트
우리나라는 지역을 경계로 다양한 민속음악이 존재한다. 그리 넓지 않은 땅덩어리가 나뉘고 나뉘어 지역적 특징이 생기고 그것이 문화를 이루었다. 대한민국처럼 면적이 좁은 나라에서 지역별로 큰 문화적 차이를 보이는 것은 참으로 신기한 일이다.
예로부터 신분사회는 얼마나 뿌리 깊었는지, 돈을 주더라도 사야만 했던 양반이라는 신분은 자신을 방어하고 높이는 두 글자였다. 신분 차이는 의식주의 차이를 불러왔고 예술을 향유하는 방식도 마찬가지였다. 백성은 삶의 애환과 풍자를, 양반은 의식과 수양을.
그 두 가지 (지역과 신분) 사이에서 외로웠던 악기가 ‘거문고’라는 악기가 아닐까? 경기, 서도 지방 음악에 쓰이지 않으며(주로, 혹은 거의) 양반의 악기라는 관념으로 민중의 음악들에 편입되지 못하였다.
전통적으로 거문고는 남도음악에 중요하게 사용된다. 남도 음악이란 전라도 지방을 배경으로 하며 육자배기토리, 계면조를 주로 사용하는데, 거문고 연주자 이재하는 남도 민요를 거문고로 정리하여 발표하는 프로젝트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2022년 발매된 ‘이재하 거문고 남도민요 - 육자배기’ 를 시작으로
2024년 '흥타령' 등 다양한 남도 민요 음악을 음원과 공연 형태로 제작 중이며 이를 대표하는 브랜드를 ‘NAM’ 으로 착안하였다.
이번 발표되는 'NAM'은 세마치 장단의 '동백타령'으로 시작하여 '계면 다스름', '흥타령'을 지나 굿거리장단의 '금강산타령', 마지막으로 '서울삼각산'으로 다양한 장단과 느낌들로 구성되어있다.
In Korea, there are various folk music depending on the region's border. The small land mass was split and divided to create regional features, which formed culture. It is incredible that such a small nation like Korea has such stark cultural distinctions across regions.
People such as the commoners sought to buy the status of a Yangban (scholar-gentry) even if they had to pay a vast amount of money, demonstrating how deeply embedded the social class has been since ancient times. Yangban was a word that enabled one to justify and elevate oneself in society. The discrepancy in status caused differences in consciousnism and how people enjoyed art. The people consumed art for the love and sorrow of life and satire, and the Yangban consumed it for consciousness and discipline.
Wouldn't 'Geomungo' be the lonely musical instrument that stood alone between the two (region and status)? Geomungo did not appear in Gyeonggi and Seo- do nation’s local music. Also, it was usually not incorporated into the people's music with the notion that it was a musical instrument of the Yangban class.
Traditionally, the geomungo has been crucial in Namdo music, which originates from the Jeolla Province and often employs the 'yukjabaegi-tori' tuning and the 'gye-myeon-jo' scale.
Lee Jaeha, a geomungo player, has been steadily working on a project to organize and present Namdo folk songs arranged for the geomungo. Starting with the release of “Lee Jaeha’s Geomungo Namdo Folk Songs - Yukjabaegi” in 2022, he is now producing various Namdo folk songs such as “Heung-taryeong” in both audio and performance formats. These efforts are under the brand ‘NAM’, which aims to represent the essence of Namdo music.
The latest release, ‘NAM’, features a diverse range of melodies and feelings, starting with the lively tempo of ‘Dongbaek-taryeong’, traversing through ‘Gyemyeon- Dasleum’, ‘Heung-taryeong’, ‘Geumgangsan-taryeong’ with its festive rhythm, and concluding with ‘Seoulsamgaks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