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하 거문고 남도민요 ‘흥타령’ / LEE JAE HA GEOMUNGO NAMDO MINYO 'Heung taryung'
크레딧
Geomungo, Jang-Gu : 이재하 Jae-Ha Lee
Recording Engineer : 이재하 Jae-Ha Lee
Recorded & Mastered at NeigeROOM, Seoul
트랙리스트
트랙 1. 흥타령 Heung taryung 10:32
TOTAL 10:32
라이너노트
우리나라는 지역을 경계로 다양한 민속음악이 존재한다. 그리 넓지 않은 땅덩어리가 나뉘고 나뉘어 지역적 특징이 생기고 그것이 문화를 이루었다. 대한민국처럼 면적이 좁은 나라에서 지역별로 큰 문화적 차이를 보이는 것은 참으로 신기한 일이다.
예로부터 신분사회는 얼마나 뿌리 깊었는지, 돈을 주더라도 사야만 했던 양반이라는 신분은 자신을 방어하고 높이는 두 글자였다. 신분 차이는 의식주의 차이를 불러왔고 예술을 향유하는 방식도 마찬가지였다. 백성은 삶의 애환과 풍자를, 양반은 의식과 수양을.
그 두 가지 (지역과 신분) 사이에서 외로웠던 악기가 ‘거문고’라는 악기가 아닐까? 경기, 서도 지방 음악에 쓰이지 않으며(주로, 혹은 거의) 양반의 악기라는 관념으로 민중의 음악들에 편입되지 못하였다.
최근 뛰어난 거문고 주자들의 활동으로 창작음악에서 거문고의 영향력이 넓어지게 되었다. 본인은 창작자이자 연주자로 활동하며 항상 새롭고 창의적인 음악을 만들고 연주하고자 노력하는 한편 전통 음악에서 거문고 산조 이외의 레퍼토리가 기록된 음원의 부재가 항상 아쉬웠다. 2022년 이재하 거문고 남도민요 ‘육자배기’에 이어 대표적 남도민요 레퍼토리인 흥타령을 거문고 소리만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인 남도민요 연주는 창자를 주인공으로 기악은 반주 하는 음악이고, 그 안에서 거문고가 담당해야할 역할이 있으나 본 음원은 소리의 결을 최대한 지키고 가사가 발음되는 부분을 최대한 인지하며 창자의 목소리를 거문고로 표현해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총 6절을 연주하였으며 시작하는 가사는 다음과 같다.
창 밖에 국화를 심고 / 2. 빗소리도 임의 소리 / 3. 춘조는 다정하여 / 4. 잊어야할 그 사람은 / 5. 꿈이로다 꿈이로다 / 6. 유달산 산마루에
In Korea, there are various folk music depending on the region's border. The small land mass was split and divided to create regional features, which formed culture. It is incredible that such a small nation like Korea has such stark cultural distinctions across regions.
People such as the commoners sought to buy the status of a Yangban (scholar-gentry) even if they had to pay a vast amount of money, demonstrating how deeply embedded the social class has been since ancient times. Yangban was a word that enabled one to justify and elevate oneself in society. The discrepancy in status caused differences in consciousnism and how people enjoyed art. The people consumed art for the love and sorrow of life and satire, and the Yangban consumed it for consciousness and discipline.
Wouldn't 'Geomungo' be the lonely musical instrument that stood alone between the two (region and status)? Geomungo did not appear in Gyeonggi and Seo- do nation’s local music. Also, it was usually not incorporated into the people's music with the notion that it was a musical instrument of the Yangban class.
Recent activities of outstanding Geomungo players have expanded the influence of Geomungo in creative music. While working as a creator and performer, I was constantly striving to create and present new and innovative music. On the other hand, it was always somewhat disappointing due to the absence of an album containing the process of recording repertoires other than Geomungo Sanjo in traditional music.
This new release includes Heung Taryung, a representative of Namdo Minyo (Namdo folk songs), among the traditional folk music repertoire played by Geomungo. The general Namdo Minyo performance is accompaniment-oriented music, and Geomungo plays a specific role in it; however, this record focuses on preserving the texture of the sound as much as possible, recognizing the pronunciation of the lyrics as much as possible, and expressing the voice of the singer by using Geomung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