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드의 첫 정규 앨범은 중요하다. 중요한 만큼 욕심을 부리게 되고, 앨범을 내는 데 모든 것을 소진한다. 정신적으로든 물질적으로든 그렇게 되기 쉽다는 말이다. 하지만 그런 와중에 사라지는 것들이 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그리고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이었는가'와 같은 것들이다. '파라솔'의 첫 정규 앨범은 그런 부분들을 놓치지 않기 위해 많은 고민과 시간을 쏟은 결과물이다. 그리고 지금과 같은 마음으로 계속 음악을 해나가고, 많은 사람들이 '파라솔'에 공감할 수 있는 날이 온다면 지금의 우리가 왜 이런 선택을 할 수 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명쾌한 답을 알 수 있는 그런 날이 오지 않을까. 지금은 비록 우리가 하고 싶은걸 하다 보니 이렇게 만들었다고 밖에 말할 수 없지만.
깔끔하고 정제된 사운드에 대한 의지를 버리다.
전 곡은 합주실에서 마이크 몇 개와 노트북, 합주실의 악기들을 사용해 녹음했고 믹싱 역시 지윤해와 김나은의 집에서 이루어졌다. 2014년의 EP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녹음을 했었지만 기타를 추가함으로써 3인조 사운드의 약점인 여백을 채우려 했다면 정규앨범은 그 여백을 살리는 데에 집중했다는 점이 EP와는 다른 점이다. 밴드의 첫 정규앨범은 마땅히 이래야 한다거나 이렇게 되었으면 좋겠다는 욕심이나 의지도 없었다. 밴드가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한다는 원칙만 있었을 뿐.
앨범 커버 아트에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자 했다.
커버아트는 '파라솔'의 드러머 정원진이 길거리에서 고양이를 안고 있는 모습을 김나은이 찍은 사진이다. 설명 그대로일 뿐 '파라솔'의 음악과 앨범 전체의 이미지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사물(우산, 양산 등)로서의 '파라솔(Parasol)'이 주는 시각적인 이미지를 벗어나 음악과 상관없이 멤버들이 모두 좋아하는 사진을 앨범 전면에 배치한 것이다. "우리가 좋은 게 좋은 거다"라는 원칙이 앨범 디자인에서도 그대로 이어졌으면 했고, 곳곳에 그런 고집스러움이 숨겨져 있다.
'나'와 '세상'을 의식하지 않는 듯한 가사와 멜로디, 그게 '파라솔'의 음악이다.
혹자는 '파라솔' 1집을 두고 무관심의 음악이라고도 표현한다. 너무 쿨하다 못해 차갑게 느껴질 정도라고. 몇 년 전부터 인디신에 퍼지기 시작한 슬프고 무기력한 청춘을 노래하는 것과는 또 다른 방식으로 현재 자신이 처한 상황을 표현하지만 거기엔 어떠한 감정도 배제되어 있으며 심지어 청춘은 존재하지도 않는다. 화자가 늙은이인지 젊은이인지, 여성인지 남성인지도 모호하며 사랑인지 미움인지도 분간하기 힘든 감정들이 무덤덤하게 흘러간다. '나'라는 존재는 음악 속에서 철저히 비워져 있고, 그 안을 채우는 건 타인에 대한 상상인데 그마저도 엄격하게 제한된 채로 존재한다.
'1곡 1담'
1. "법원에서"
밴드가 만들어지기 전에 만들어져 가장 장기간 작업한 곡이다. 처음엔 보증과 친구 관계에 관한 가사였는데 "언젠가 그 날이 오면"이란 곡을 작업한 뒤 가사 내용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현재 '파라솔'의 음악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곡 중 하나이다.
2. "미끼"
오랫동안 가사가 나오지 않아 곡 자체가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합주실에서 1분만에 가사가 완성되어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곡이다.
3. "뭐 좀 한 것처럼"
지난 EP [파라솔]의 타이틀곡과 같지만 정규 1집에는 사운드를 좀 더 옛 노래 느낌이 나도록 작업했다. 악기연주의 변화도 EP버전과는 조금 달라진 부분이 있기에 비교해보면서 들어보시면 좋을 것 같다.
4. "너의 자세"
숨겨뒀던 정규 1집의 타이틀 곡. 예전부터 작업해보고 싶었던, 보컬 멜로디의 폭이 크지 않은 평탄한 노래다. 편곡도 가장 만족스럽다. '파라솔' 노래 중 제일 행복한 '사랑 노래'이다.
5. "부러진 의자에 앉아서"
처음으로 멤버 모두의 목소리가 들어간 노래이다. 나은, 윤해의 목소리로 노래가 흘러가다가 후렴부분에서 원진의 목소리가 더해진다.
6. "어느 거리에"
버전이 2개다. 공연 때마다 번갈아 가며 연주를 했었는데 앨범에는 차분한 버전으로 수록했다. 조금 더 직선적이라고 볼 수 있는 다른 버전은 추후 음원으로 작업해 볼 생각이다.
7. "빌리"
밴드활동 초기에 만든 곡이다. 처음엔 느리고 조용한 노래였는데, 베이스 리프를 만들고 합주를 하며 지금의 편곡을 갖추게 되었다.
8. "친구"
원테이크 녹음 방식의 효과가 가장 잘 드러난 곡이 아닐까 싶다. 곡의 템포가 일정하지 않아 멤버들이 한 공간에서 서로 같은 호흡으로 연주를 해야만 했고 마음에 드는 결과가 나온 것 같다.
9. "언젠가 그 날이 오면"
연인에게 들을 수 있는 가장 설렐 수도 있는 말과 가장 구질구질한 말들이 함께 있다. 결과적으로는 '구질구질한 발라드'다. ....

